- [AD] 혁신의 시작 ASK
- Creativity LINK
- 2013. 7. 24. 12:38
창조와 혁신의 시작은 답이 아니라 질문!!
호기심과 질문만이 그 문을 연다,
'Creativity L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 재미있고 창의적인 길거리 전단 (0) | 2013.10.13 |
---|---|
[AD] Leo Burnett - Creative 101 (0) | 2013.10.13 |
[People] Walter Isaacson 졸업연설 (0) | 2013.06.05 |
[Book] 기획의 정석 무에서 유를 만드는 10가지 빡신 기획 습관 (0) | 2013.05.08 |
[Education] 시간을 선물하자 (0) | 2013.04.10 |
- 꽃보다 할배들의 기획된 매력
- The Point of View
- 2013. 7. 24. 09:46
요즘 육아로 인해 뜸...한 크레쏭의 포스팅 오늘 오전 밤샘 수발을 마치고
떠오르는 태양을 보면서 몇 글자 끄적여 본다. 지금 나의 상태는 문자 그대로 멘붕, OTL, TT.....
매주 금요일 수발녀, 젖공급소의 삶을 살고 있는 나에게 웃음을 주는 TV 프로그램이 꽃보다 할배
눈이 시리게 잘생긴 젊은 남자들도 아니고 구여운 아이돌도 아닌
평균 나이가 70세가 넘는 노년의 배우들이 나오는 예능프로가 왜 애엄마의 마음을 살랑이게 할까?
그것이 바로 '기획'의 힘!!
기획이란 이름이 들어가면 무언가 멋있고 대단하고 냉철하고 이성적으로 느껴진다.
드라마에 많이 등장한는 기획팀, 기획조정실, 기획실장....
조직의 핵심조직이고 뒤에서 뭐든 배후에서 조정할거 같은 느낌이다.
이 프로그램을 기획한 PD는 S방송의 여행프로그램 1박 2일로 유명세를 탔다.
그 프로그램으로 다른 예능 프로그램에도 '힘든여행 그러나 즐거운 시간'이란
새로운 컨셉을 가져왔다.
그럼 꽃보다 할배의 인기는 어떻게 기획된 것일까?
첫째, 패러디 : 익숙함 + Twist
꽃보다 할배는 어디선가 본 듯한, 들어본듯한 것들이 많이 나온다.
꽃보다 할배라는 Naming도 인기 드라마에서...등장인물의 컨셉도 그 드라마에서 빌려왔다.
그러나 등장인물은 그 반대가 되는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왕년 꽃미남이었으나 이젠 노인이 된 과거에 '잘 나가던 남자들'이 새로움을 준다.
1박 2일의 막내 승기 컨셉 부활. 막내지만 조금 나이든 40대 막내!! 1박 2일의 승기처럼
풋풋함...형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는..이.서.진 ^^ 그의 힘들어 하는 모습도 한 재미의 축!
둘째, 반전매력 : 청춘노인들 새로운 발견
'노인(老人)' 은 몸이 아니라 마음이 늙어야 노인이다.
사무엘 율만의 시를 반증하는 듯한 4명의 청춘노인!!!
청춘
그동안 우리가 알던 모습에 숨겨진 소소한 반전매력들이 이 프로그램을 보는 재미를 더한다.
한국의 '왕' 전문배우 근엄한 이순재..야동 순재의 두 번째 변신 털털한 맏형 새집순재
자상한 국민 할아버지에서 엉뚱한 귀요미 모습을 보여주는 신구
재벌총수, 악역 전문 배우 박근형의 까칠한 카리스마 속에 숨겨진 깊은 정...
푸근한 동네 아저씨 전문 배우 백일섭의 불같은 성미와 땡깡...^^
셋째, 진정성 : 우리 시대 아버지
아직 프로그램이 많이 진행되진 않았지만 중간 중간 보이는 그들의 독백에서 우리 아버지들의 모습이 보인다.
어려운 시대를 치열하게 살아가느라 자신을 위한 투자를 하지 못하셨던 분들
요즘은 대학생들의 필수코스인 배낭여행도 이제 처음 가보시는 분들
외국, 배낭, 여행이라는 젊은사람들에겐 아무것도 아닌 것에 어리숙한 모습을 보이는 그들이 짠~~~~~하다.
현재의 풍요로움을 만든 그들의 희생이 느껴진다.
우리는 늘 기획하면서 산다.
아니면 누군가가 기획한일을 Follow up 하는 일이 나머지이다.
그러나 잘 생각해 보라! 전자가 훨씬 스릴있고 재미있다.
기획이 힘을 가질 땐 그 기획한 일을 상대방이 공감해 줄 때이다.
상품과 서비스를 잘 기획해야 고객의 마음을 얻고
영화도 잘 기획해야 관객의 발길을 잡을 수 있으며
정책도 켐페인도 잘 기획해야 유권자의 표를 얻는다. (이건...좀 다른가? ㅋㅋㅋ)
내가 하고 있었던 '교육' 업무도 기획이 철저해야 교육생의 변화를 만들 수 있다.
여행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제 노인 프로그램을 또 만들어낸 나영석 PD의 새로운 기획에 큰 박수를 열심히 쳐본다.
사실 우리가 하는 큰 착각은 무언가 크고 거대한 기획이 큰 변를 만들줄 안다.
그러나 우리의 마음은 작은 파장이 모여 점점 크게 움직인다.
그 파장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진정 고수!
당.신.은 고수 인가요?
'The Point of 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김일성을 창의적이라고 부르지 않는 이유 (0) | 2013.09.13 |
---|---|
성공여성 7가지 비결 “유리천장을 부수려면” (0) | 2013.09.13 |
2013년 대한민국 3대 미스테리 (0) | 2013.05.03 |
[창조프로세스] 싸이와 원더걸스의 차이는? (0) | 2013.03.22 |
[Process] Design Thinking II - IDEO, Tim Brown (0) | 2013.01.28 |
- [People] Walter Isaacson 졸업연설
- Creativity LINK
- 2013. 6. 5. 14:26
스티브 잡스, 아인슈타인, 벤자민 프랭클린 자서전 작가 Walter Isaacson
그가 이야기 하는 진짜 스마트한 사람들의 이야기
살아간 시대는 다르지만 그들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Innovation, Imagination, Success, and Drive"
그 Drive는 열정이었다. 그러나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자신의 열정만을 위해 살지 않았다는 것이다.
Follow your passion but Connect them to make the world better place
그의 졸업연설의 내용을 잠시 살펴보고자 한다.
When I graduated from colleage on this type of day
When I was standing there
the minister of my college gave us a sermon that morning.
The title of the sermon was 'what we forgot to tell you'
the relevend pointed one guy and asked
"What do you want to do when you leave the college?"
He said
"I wanna be powerful." "I wanna be important."
"I wanna be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maybe..."
내가 여러분과 처럼 졸업을 하게 되었을 때
바로 그 자리에 서서 이런 설교를 들었습니다.
설교의 제목은 '우리는 무엇을 잊었는가?'였습니다.
설교를 하시던 목사님이 한 학생에게 물었습니다.
"학교를 떠나면 무엇이 하고 싶은가?'
그러자 학생이 대답했습니다.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고싶습니다."
"중요한 사람이 되고싶어요."
(미국 대통령이 되고싶었나 보죠...^^)
The relevend said you should name higer
and he said this college produced a lot of successful people
even produced few presidents
but the more important thing it does is a produces a few people who are good
so aim not just to be successful, aim to be good..
and hiigher aim for doing good in this world.
목사님이 다시 말씀하시길 자네는 반드시 명성을 떨쳐야 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리고 말을 이어갔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소수의 대통령을 포함하여 많은 성공한 사람들을 배출했습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정말 소수의 사람들만 좋은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니 단순히 성공을 목표로 하지말고 좋은 사람이 되기를 목표로 하시기 바랍니다.
이 세상을 위해 할 수 있는 좋은일을 목표로 삼으시기 바랍니다."
All over in my generation baby boomer generation giving graduation speech
I predict that most of them were saying the same thing
which is following your passion...
follow your passion whatever it lead you..
무엇보다 나와같은 베이비 붐머 세대의 졸업연설은...
같은 말을 많이 한다.
열정을 따르라!!
그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든지
무조건 열정을 따르라!!!
I will tell you something different tough..
Inane about your passion!!
It's about being part of someting larger than yourself.
It's about conneting your passion to which engraved on those gates that you will go forth
and give benefit to mankind that you will go forth and be good.
그러나 나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열정, 잊어버리십시요.
그것은 당신보다 더 큰 그 어떤 것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여러분을 앞으로 나아가게할 문을 만들어 줄
여러분의 열정들을 연결하는 것에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미래를 만들고 이롭게 하는데 일조할 수 있어야 합니다.
Because at the end of your days when you look back when you come back for your fifeth reunion
your family, kids and grandkids, the people who graduated sitting next you you..
come back with you to that fiftieth reunion
It's not just about seeing how successful on you work or who you were..
how much.toys....powers accumulated....
왜냐하면 여러분 생의 마지막날..또는 15번째 동창회에서
여러분으 가족, 자식, 손자들 그리고 지금 옆에 있는 동기들이 모여...
당신이 일에서 얼마나 성공했는지
그동안 축적한 부와 명예가 얼마나 되는지 보여주려고 만나진 않습니다.
It's about what you created and what you did to make the world slightly better place
because you were here.
당신이 창조해 낸 것...당신이 한 일...당신이 이 세상에 살았다는 것 만으로
이 세상이 조금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었는가...에 관한 것입니다.
...............
Follow your passion but connect that passion to somthing greater than yoursves.
여러분의 열정을 따르십시요.
그러나 좀 더 큰 뜻을 위해 그 열정들을 연결해 보시기 바랍니다.
Commencement Speech at Promona College May 19, 2013
'Creativity L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 Leo Burnett - Creative 101 (0) | 2013.10.13 |
---|---|
[AD] 혁신의 시작 ASK (0) | 2013.07.24 |
[Book] 기획의 정석 무에서 유를 만드는 10가지 빡신 기획 습관 (0) | 2013.05.08 |
[Education] 시간을 선물하자 (0) | 2013.04.10 |
[Soh-tong] 여자와 대화하는 법 (0) | 2013.03.25 |
Recent comment